[메디먼트뉴스 이상백 기자] 입 냄새가 심하다고 느낄 때, 기침이나 양치를 하다 보면 지독한 냄새가 나는 '노란 알갱이'를 발견할 때가 있다. 이 알갱이의 정체는 '편도결석'. 이것의 정체는 무엇이고, 어떻게 없앨 수 있을까?

편도결석은 말 그대로 편도선에 생기는 결석이다. 모든 사람의 편도선에는 작은 구멍(편도선와)이 있는데, 음식을 삼킬 때 편도선와에 찌꺼기가 걸려 쌓이면 결석이 만들어진다. 이곳에 세균이 번식·부패하면서 지독한 냄새가 나게 된다. 편도는 목젖의 양옆 주름진 벽으로, 코와 입으로 들어오는 세균을 방어하는 면역 기관이다. 편도결석은 말랑말랑하고, 보통 0.5mm 정도 크기의 연한 노란색 밥풀 크기다.

편도결석은 주로 만성 편도염에 잘 걸리는 사람,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는 사람에게 잘 생긴다. 염증 때문에 편도가 커졌다 작아지기를 반복하다 보면 편도음와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이다. 구강 상태가 청결하지 않아도 잘 생긴다. 구강 내에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독한 입 냄새와 함께 침을 삼킬 때 목에 뭔가 걸린 것 같은 느낌이 들거나, 목이 간지럽고 아프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다. 가래를 뱉거나 양치할 때, 기침할 때, 구역질이 날 때 결석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바깥쪽에 편도결석이 생겼다면 입을 '아'하고 벌렸을 때 이물질을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젓가락이나 면봉 등으로 빼내려고 하면 안 된다. 결석을 꺼내려는 과정에서 구강 내부나 편도가 긁혀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병원에서 소독한 의료 도구를 이용해 빼내야 한다. 병원에서는 후두 내시경을 보면서 기계로 결석을 빨아들이거나 압출하는 치료로 결석을 제거한다. 편도결석은 재발이 잦은 편인데, 반복되면 편도결석이 주로 발생하는 편도를 절제하는 경우도 있다.

한번 편도 결석이 생기면 자의로 빼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편도 결석이 생기기 전 예방은 자의로 충분히 할 수 있다. 먼저 평상시 구강 위생에 신경 써야 한다. 양치질을 자주 하고, 수분을 조금씩 자주 섭취해 구강 인두를 건조하지 않게 한다. 또한, 지나치게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목이 바짝 타도록 하는데, 이때 인후두염이나 편도염이 재발해 편도결석이 생길 수 있다. 이외에도 탄산음료, 진한 커피 잦은 섭취 피하기, 금연, 금주 등의 방법이 있다.

편도 결석은 치료를 받지 않아도 건강에 문제가 없다. 알갱이가 어느 정도 커지거나 알갱이끼리 뭉치면 침을 뱉거나 양치질을 할 때 저절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메디먼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